12.12 군사반란: 한국 현대사의 운명을 바꾼 하룻밤
안녕하세요, 역사 탐험가 여러분! 오늘은 한국 현대사의 중대한 전환점이었던 '12.12 사태'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979년 12월 12일 밤, 서울의 어둠 속에서 벌어진 이 사건은 이후 한국의 정치 지형을 완전히 바꿔놓았죠. 영화보다 더 극적인 실화, 그 숨막히는 12시간의 이야기를 함께 살펴볼까요?
📜 박정희 시대의 종말과 혼돈의 시작
1979년 10월 26일, 18년간 한국을 통치해온 박정희 대통령이 측근인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암살됩니다. 갑작스러운 권력 공백 속에서 최규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고, 계엄사령관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이 군을 통제하게 됩니다.
그러나 표면적인 안정 아래, 군부 내에서는 권력 재편을 위한 물밑 움직임이 활발했습니다. 특히 '하나회'라는 군 내 비공식 파벌의 수장이었던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그 중심에 있었죠.
⚔️ 하룻밤 사이에 벌어진 권력 쿠데타
12월 12일 저녁,
전두환은 정승화 계엄사령관이
'쿠데타를 모의 중'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그를 연행하려 합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
전두환 자신이 군권을 장악하기 위한
계략이었죠.
오후 7시: 숨막히는 기습 작전의 시작
보안사령부의 병력들이 육군참모총장 공관으로 들이닥치고, 정승화 총장은 전두환에 의해 체포됩니다. 당시 정승화 총장은 저녁 식사 중이었다고 하죠. 상상해보세요. 어느 추운 겨울날 저녁, 갑자기 당신의 집에 무장한 병력이 들이닥친다면 말입니다.
밤 10시: 군 지휘부의 분열
정승화 총장의 체포 소식이 전해지자, 국방부와 육군본부는 큰 혼란에 빠집니다. 육군 내 각 부대 지휘관들은 누구의 명령을 따라야 할지 갈팡질팡합니다. 특히 수도경비사령관 장태완 소장이 전두환의 행동에 반발하면서 서울 시내에서는 군 병력 간 대치 상황이 발생합니다.
심야: 탱크가 달리는 서울 거리
이 과정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 중 하나는 서울 시내로 진입하는 탱크 행렬이었습니다. 자정을 넘어서자 진해의 해병대, 충북 진천의 제1기갑여단 등 전두환 측에 가담한 부대들이 서울로 집결하기 시작했죠. 당시 여의도와 서울역 일대에서는 탱크와 장갑차들이 요란한 소음을 내며 질주했습니다.
밤새 서울 시민들은 창문으로 보이는 군 차량과 총소리에 공포에 떨어야 했습니다. 누가 누구의 편인지,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 수 없었던 혼돈의 밤이었죠.
🏛️ 권력 장악과 새로운 시대의 개막
다음날 새벽: 승자와 패자
12월 13일 새벽, 전두환 측 병력이 우세해지면서 상황은 거의 결정됩니다. 장태완 수경사령관과 같은 반대파 지휘관들은 체포되고, 전두환은 군부의 실질적 지도자로 부상합니다.
이 하룻밤의 사건은 표면적으로는 군 내부의 '숙군 작업'이라고 포장되었지만, 사실상 권력 쿠데타였습니다. 이후 전두환은 중앙정보부장(현 국정원의 전신)을 거쳐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같은 해 8월에는 대통령에 취임하게 됩니다.
🔍 역사적 의미: 민주화로 가는 우회로
12.12 사태는 단순한 군사 반란이 아니라,
한국 현대사의 흐름을 바꾼 중대한 사건이었습니다.
박정희 사후 잠시 피어났던 '서울의 봄'이라 불리는
민주화 희망은 이 사건으로 인해 좌절되었고,
한국은 새로운 군사 정권 시대로 들어서게 됩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 사건은 결국 1980년대 한국 민주화 운동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했습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지는 민주화의 열망이
더욱 강하게 분출되는 계기가 되었죠.
💭 생각해볼 점: 그날 밤이 달랐다면?
만약 12월 12일 밤,
정승화 총장이 전두환의 체포를 피했다면?
혹은 장태완 수경사령관이 승리했다면?
한국의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이런 '가정의 역사'는
우리에게 역사의 우연성과 개인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만듭니다.
역사는 필연적인 흐름만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순간의 선택과 행동이 미래를 크게 바꿀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12.12 사태입니다.
📚 더 알아보기
12.12 사태는 이후 민주화 이후 전두환, 노태우 등 관련자들이 내란죄로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법적으로도 '군사반란'으로 규정되었습니다. 역사는 결국 정의의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하죠.
여러분은 이 역사적 사건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나눠주세요! 앞전의 포스팅에서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참조해 주세요~
우주의 윤리적 포물선은 길지만 정의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 마틴 루터 킹 -
'기억하며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①한국현대사1950년대 (6) | 2025.05.16 |
---|---|
한국과 OECD (0) | 2025.05.15 |
6월 민주항쟁 (2) | 2025.05.06 |
5.18 민주화 운동 (4) | 2025.05.01 |
10.26사태 (3)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