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반응형
SMALL

한국현대사 8

역사 : ⑧한국현대사2020년대

2020년대: 팬데믹과 새로운 도전코로나19 팬데믹과 K-방역2020년 1월 20일, 한국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했고, 전 세계적 팬데믹이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은 초기에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급속한 확산을 겪었으나, 적극적인 검사와 추적, 치료 시스템을 통해 비교적 성공적으로 대응했습니다. 'K-방역'이라 불린 한국의 코로나 대응 모델은 세계적 관심을 받았으며,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드라이브스루 검사, 자가격리 앱 등의 방식이 주목받았습니다. 3,400만 명+ : 2023년 8월까지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 // 3만 5천 명+ :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 팬데믹은 한국 사회에 비대면 문화를 확산시켰고,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화상회의 등이 일상화되었습..

기억하며살자 2025.05.23

역사 : ⑦한국현대사2010년대

2010년대: 글로벌 한국과 사회 변화스마트폰 혁명과 모바일 사회2010년부터 시작된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한국 사회의 일상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2019년 기준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95%로,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카카오톡, 라인 등 모바일 메신저가 주요 소통 수단이 되었고, 배달의민족, 카카오택시 등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소비 패턴과 산업 구조가 급변했습니다. 또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글로벌 SNS 플랫폼이 대중화되었습니다. 핀테크 산업도 급성장하여 간편결제, 모바일뱅킹 등이 일상화되었으며, 2016년 무인자동차,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K-POP의 글로벌 ..

기억하며살자 2025.05.22

역사 : ⑥한국현대사2000년대

2000년대: IT 강국과 한류의 시작IT 혁명: 디지털 코리아의 탄생2000년대 한국은 명실상부한 IT 강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00년 초반 한국의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은 세계 1위를 기록했으며, 사이버 커뮤니티 '싸이월드'는 2005년 기준 가입자 1,800만 명을 돌파하며 국민 SNS로 자리잡았습니다. 32% - 2000년대 IT 산업의 GDP 성장 기여율 // 94.8% - 2008년 한국 가구 인터넷 보급률 온라인 게임 산업이 급성장하여 '리니지', '아이온' 등이 세계적 인기를 끌었고,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휴대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 하드웨어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부상했습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은 IT 인프라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류의 시작..

기억하며살자 2025.05.21

역사 : ⑤한국현대사1990년대

1990년대: 글로벌화와 경제위기 문민정부의 출범과 세계화1993년 김영삼 대통령이 취임하며 32년 만에 '문민정부'가 출범했습니다. 김영삼 정부는 '역사 바로세우기'의 일환으로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을 비롯한 12·12 군사반란과 5·18 관련자들을 처벌했고, 하나회를 해체했습니다. 1993년 금융실명제를 전격 시행하여 지하경제를 양성화하고자 했으며, 1995년에는 '세계화(Globalization)'를 국정 기조로 삼아 OECD 가입을 추진하고 국제 경쟁력 강화에 나섰습니다. 1996년 12월 12일, 한국은 29번째 OECD 회원국이 되었습니다. IMF 외환위기(1997):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점1997년 11월, 한국은 외환보유고 고갈로 국가 부도 위기에 직면했고, 12월 3일 국제통화기금(..

기억하며살자 2025.05.20

역사 : ④한국현대사1980년대

1980년대: 격동의 민주화 시대 5·18 광주민주화운동(1980): 한국 현대사의 비극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에서 발생한 5·18 민주화운동은 신군부의 군사쿠데타에 항거한 시민들의 저항이었습니다. 계엄군의 무력진압으로 많은 시민들이 희생되었으며, 이 사건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이념적 토대가 되었습니다. 165명 - 공식 집계된 5·18 사망자 수 5·18 민주화운동은 오랫동안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으며, '광주사태'라는 왜곡된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1997년 '5·18 민주화운동'으로 공식 명명되었고, 2002년에는 5월 18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5·18 이후 한국 문학과 예술5·18은 한국 문화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황석영의 '소설 광..

기억하며살자 2025.05.19

역사 : ③한국현대사1970년대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와 유신체제 유신체제(1972-1979):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딜레마1972년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은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유신헌법을 발표했습니다. 유신체제는 대통령에게 막강한 권한을 부여하는 권위주의 체제로, '경제 발전을 위한 정치적 안정'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습니다. 이 시기 박정희 정부는 '선성장 후분배' 정책을 강력히 추진했고, 실제로 한국 경제는 연평균 10%가 넘는 고도성장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정치적 자유와 민주주의는 크게 후퇴했으며,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탄압이 심화되었습니다. 유신체제의 핵심 요소대통령 직선제 폐지 및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간선제 도입대통령 임기 6년, 연임 제한 철폐대통령에게 국회 해산권, 긴급조치권 부여사법부 독립 제한 중화..

기억하며살자 2025.05.18

역사 : ②한국현대사1960년대

1960년대: 혁명과 개발의 시대4·19 혁명(1960):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1960년 3월 15일 부정선거를 계기로 발생한 4·19 혁명은 이승만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최초의 시민혁명이었습니다. 대학생들이 주도하고 시민들이 참여한 이 운동은 12년간의 이승만 정권을 종식시키며 한국 민주주의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186명 4·19 혁명 사망자 수 4·19 혁명은 한국 현대사에서 최초로 시민들이 직접 민주주의를 쟁취한 사건으로, 이후 한국의 모든 민주화 운동의 사상적 뿌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성립된 제2공화국은 정치적 혼란과 사회 분열로 인해 불과 1년도 채 지속되지 못했습니다. 5·16 군사정변과 박정희 시대의 개막(1961)1961년 5월 16일,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일부 군..

기억하며살자 2025.05.17

역사 : ①한국현대사1950년대

1950년대: 전쟁과 재건의 시대6·25 전쟁(1950-1953): 냉전의 최전선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은 단순한 내전이 아닌 냉전체제의 첫 번째 '열전'이었습니다. 3년 1개월 간의 전쟁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민간인 사상자 약 250만 명, 군인 사상자 약 140만 명에 달했습니다. 250만 명 민간인 사상자 // 140만 명 군인 사상자 // 1,000만 명 이산가족 전쟁은 국토의 85%를 폐허로 만들었고, 산업시설의 43%가 파괴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비극적 사건은 한국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수천 년 동안 내려온 신분제와 그에 따른 도덕체계가 붕괴되었고,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 근대적 산업사회로 전환하는 계기가 ..

기억하며살자 2025.05.16
320x10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