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lness

어지럼증의 대부분은 귀라는거 아시나요?

웅켈리73 2025. 2. 25. 15:23
728x90
반응형
전정신경염

 

전정신경염 개요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onitis)은 전정신경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됩니다. 이 질환은 균형을 담당하는 귀의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겨 심한 어지러움,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증상은 갑작스럽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몇 분에서 시작해 수 시간에서 수일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증상

전정신경염의 주요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갑작스러운 회전성 어지러움
  • 메스꺼움과 구토
  •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움
  • 오한 및 권태감과 같은 경미한 감기 증상

이러한 증상은 대개 며칠 후 완화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수개월 간 잔여 어지러움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원인

전정신경염의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특히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스트레스나 피로가 발생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혈액공급이 불량해지는 상황에서도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진단 과정에서는 심한 어지러움이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신체 검사와 눈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검사로 진행되며, 필요시 MRI를 통해 뇌혈관 질환과 구분합니다.

치료

치료 방법은 주로 증상 경감을 목표로 합니다. 급성기에는 어지러움과 구토를 완화하기 위해 진정제 및 진토제를 사용하고, 이후에는 활동을 장려하여 평형 기능의 회복을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전정신경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후

대부분의 경우 전정신경염은 재발이 드물고,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그러나 약 20%의 환자에게는 치료 후 이석증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회복 과정에서는 전정재활 치료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어지럼증의 완화와 평형 감각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정신경염의 경우 면역 반응과 관련된 자가면역 질환이나 혈관 장애와 같은 다른 심각한 원인도 고려해야 하므로 초기 진단 후에는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전정신경염은 대개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지만, 드물게 뇌종양이나 기타 심각한 질환으로 인해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후속 관찰 시 어지럼증이 다시 발생할 경우, 최초 원인 외의 다른 질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발병 및 치료 후기 : 2014년에 발병 및 치료를 받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눈의 촛점이 한곳에 정지되지 않아서 빙빙도는 느낌이며, 이비인후과에서 검진안경을 씌우고 빛을 쏘여 빛을 바라보게 했는데 빛을 고정하여 볼 수 없을 정도로 눈의 촛점이 잡히지 않았으며, 약 2주간 약 처방 및  눈운동을 하면서 치료하였습니다. 
재활관련자료 링크 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asansori/223534589728

728x90
반응형